그 꽃
고 은
내려갈 때 보았네
올라갈 때 보지 못한
그 꽃
- 고은(고은태)의 시 <그 꽃>
시간이 한참이나 흐른 다음에야 알게 되는
소소한 일상의 많은 일들..
하찮게 여겨 그냥 지나쳤던 것들이지만
지나고 나서야 고마움과 소중함을 알기에
좀 더 노력하고
좀 더 기다리며
좀 더 사랑하는
여유로운 마음을 가졌으면 참 좋겠다는 생각을 가져본다.
고은(高銀, 본명: 고은태(高銀泰), 1933년 8월 1일 ~ )은 대한민국의 대표적 참여시인이자 소설가이다. 전라북도 옥구 출생으로 호는 파옹(波翁)이며 본관은 제주(濟州)이다. 고은은 전라북도 군산고등보통학교 4학년을 중퇴한 이후 그 어떤 교육기관에도 적을 두지 않았다. 한국전쟁으로 전란 시기였던 1952년 일본 조동종의 군산 동국사에 출가하여 중관학 권위자인 중장혜초로 부터 일초(一超)라는 법명을 받고 불교 승려가 되었다. 이후 10년간 참선과 방랑을 거듭하며 시를 쓰기 시작하였다.
1958년 조치훈의 추천으로 <현대문학>에 《폐결핵》을 발표하며 등단하였다. 1960년대 초에 본산(本山) 주지, 불교신문사 주필 등을 지냈고, 1960년 첫 시집 <피안감성〉(彼岸感性)을 내고 1962년 환속하여 본격적인 시작활동에 몰두하게 되었다.
고은의 문학적 성향은 <문의 마을에 가서>를 낸 1974년을 기준으로 크게 둘로 나뉘는데, 그의 전기 시들은 허무의 정서, 생에 대한 절망, 죽음에 대한 심미적인 탐닉이 주를 이루는 반면 후기 시들은 시대상황에 대한 비판과 현실에 대한 투쟁의지를 담고 있다. 그 뒤 '자유실천 문인협의회' 대표로 행동면에서 활약하기도 했다.
그는 노벨 문학상 후보로 자주 거론되고 있는데, 세계 각국에서 그가 잘 알려진 것은 노벨문학상 후보라는 것 이전에 그의 시가 20여개국에 번역되어 많은 영감을 주고 있다는 점 때문이다.실제로 2005년에는 노벨문학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매년 여러 나라에서 그를 초청하는 등 그의 시는 국경을 초월하고 있다는 점을 증명하고 있다. 특히 북유럽에서 그의 시는 높은 평가를 받는다. 노르웨이에서는 자국의 노벨 문학상 수상자 비에른스티에르네 비에른손을 기린 비외른손 훈장을 수여했고, 스웨덴에서도 자국 노벨 문학상 수상자 하뤼 마르틴손을 기리는 상인 동시에 동아시아권 문학에 주는 상인 시카다(Cikada)상을 수여하였다. 스웨덴의 한 언론매체 기사에서는 그를 군산의 제왕(Kungen av Kunsan)이라 칭할 정도였다. -위키백과-
'휴식창고 > 詩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너와 나 / 김춘수 詩 (0) | 2013.08.21 |
|---|---|
| [도종환 시인] 흔들리며 피는 꽃 (0) | 2013.02.25 |
| [셰이크 모하메드] 당신의 눈망울 속에... (0) | 2013.02.02 |
| [만해 한용운] 사랑 詩 (0) | 2013.01.08 |
| [홍광일] 가슴에 핀 꽃 (0) | 2012.11.29 |